모기약을 잘못 사용했다간 

사람이 위험해진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너무 과도하게 흡입하게 되면 두통이나 현기증, 발작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신시네티 아동병원,

 

8~15세 아이들 687명을 대상으로 소변 검사를 한 결과

 

'피레스로이드 성분'이 검출된 남자아이들은

 

ADHD 진단율이 무려 3배나 높게 나왔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모기약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뿌리는 모기약

 

성분 중 하나인 '프탈트린'은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

또 다른 성분인 '퍼메트린' 역시 환경부에 의해 내분비 장애물질로 지정돼 있습니다. 

그렇다면 에어로졸 모기약을 계속 사용해도 되는 걸까요?

 


바닥이나 장난감 등에 묻어 있다가

 

인체에 흡수돼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훨씬 많다고 하는데요. 

스프레이를 천장을 향해 분사하고 10~15분 후에는

 

꼭 환기를 시켜주고 너무 과도한 양을 뿌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모기향

 

모기향은 불에 타는 과정에서 알레트린과 함께 유해 물질이 생성될 위험이 있죠. 

2007년 대구 가톨릭대 산업보건학과 양원호 교수팀이 밀폐된 공간에서 모기향을 피우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일부 모기향에서 담배 20개비 이상을 태웠을 때와 같은 발암물질과 미세먼지가 검출되었는데요. 

 


따라서 모기향은 가급적이면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전자모기향

 

전자모기향에도 '알레트린'이 주성분으로 사용되죠 

그리고 하루 종일 켜두는 것은 삼가는 게 좋은데요.

 


켜고 2시간 동안이 살충 효과가 가장 강력하기 때문에 

취침 2시간 전에 켜두었다가 잠들기 30분 전에는 꼭 '환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기기피제

 

모기기피제에도 '디에칠톨루아미드' 라는 성분이 들어가있는데요.

과하게 사용하면 구토, 발집, 경련, 정신 착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처 부위햇볕에 탄 피부에 흡수가 매우 잘 되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절대 발라서는 안 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 후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영상 <바로가기>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